
Wi-Fi 별 고정 IP 설정 가이드
Wi-Fi 네트워크별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법을 Windows와 macOS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
또한, IP 관리를 위한 유용한 소프트웨어도 소개합니다.
목차
1. Windows에서 Wi-Fi 별로 고정 IP 설정하기
- Wi-Fi 네트워크에 연결합니다.
- 설정 → 네트워크 및 인터넷 → 상태 → 어댑터 옵션 변경을 클릭합니다.
- 현재 연결된 Wi-Fi 네트워크를 우클릭 → 속성을 클릭합니다.
-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(TCP/IPv4)를 선택하고 속성을 클릭합니다.
- 고정 IP 주소 사용을 선택한 후, 아래 정보를 입력합니다.
- IP 주소: 예) 192.168.1.100
- 서브넷 마스크: 255.255.255.0
- 기본 게이트웨이: 192.168.1.1
각 Wi-Fi 네트워크에 대해 위 단계를 반복하여 고정 IP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2. macOS에서 Wi-Fi 별로 고정 IP 설정하기
- 시스템 설정 →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.
- 왼쪽 하단의 위치 드롭다운 메뉴에서 위치 편집을 선택하고 새 위치를 추가합니다.
- 예: "Home Wi-Fi", "Office Wi-Fi" 등
- 새로 만든 위치에서 해당 Wi-Fi 네트워크에 연결합니다.
- 고급 → TCP/IP 탭으로 이동하여 수동을 선택하고 고정 IP를 입력합니다.
Wi-Fi별로 각각 다른 위치(Profile)를 만들어 저장한 뒤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외부에서 Wi-Fi를 변경할 때 메뉴 바에서 위치를 전환하면 자동으로 설정이 적용됩니다.
3. IP 관리가 편리한 소프트웨어 사용
- NetSetMan (Windows): Wi-Fi 별로 네트워크 설정(IP, DNS 등)을 저장하고 손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.
- WiFi Manager 앱 (모바일): Android/iOS용으로 IP 및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할 수 있는 앱입니다.
이 도구를 활용하면 다양한 Wi-Fi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게 IP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.
'오늘 내가 해결한 IT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dows(윈도우) 파일 암호화 문제 해결 가이드 | 윈도우 폴더 암호화 안됨 (1) | 2025.02.10 |
---|---|
윈도우 업데이트 후 인터넷 연결 오류 - 단계별 해결 방법 (0) | 2025.02.04 |
맥 숨은기능 '미션 컨트롤' 로 업무 효율 2배 UP (1) | 2025.01.18 |
맥북 '단축어' 활용으로 업무 자동화 GET! (1) | 2025.01.18 |
윈도우 11에서 블루스크린 발생 문제 해결 (1) | 2025.01.18 |